모바일 핸드셋 위치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XML 스키마 설계
(
XML Schema Design For Mobile Handset Location Based Application Services)

한승현, 황민구, 성경상, 오해석

 정보과학회
(2001. 10)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은 시스템 독립적인 문서 포맷으로 네트워크와 애플리케이션간 교환되어지는 정보를 명세하기 위한 언어이다. 최근 들어 XML은 데이터 교환과 공유에 대한 비즈니스와 산업 표준으로써 그 응용 영역이 점점 더 확장되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 측위에 대한 GPS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1996년 10월 미연방 통신위원회(FCC)에서 미국 내 모든 통신업자들에게 내놓은 위치정보서비스를 위한 E-911 권고안을 기준으로 짧은 기간 동안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GSM, CDMA망의 기지국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 측위정보 및 GPS위성을 기반으로 한 GPS 수신모듈에서 얻어진 사용자 측위정보를 이용하여 좀 더 전문화, 다양화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LTML(Location Tracking Markup Language)이라는 XML 언어를 제안한다.

 

버퍼레벨을 이용한 적응형 멀티미디어 동기화 재생 기법
(
An Adaptive multimedia Synchronization playback scheme using buffer level)

성경상, 황민구, 이기성, 이근왕, 오해석

정보리학회
(2001. 04)

 실시간 응용 프로그램은 미디어 데이터간에 만족되어야 할 동기화 제약조건(synchronization constraints)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약조건은 프리젠테이션 되어야 할 미디어 데이터간의 지연시간 및 서비스 품질을 나타낸다. 미디어 데이터간의 지연시간 및 서비스 품질을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이에 적합한 새로운 동기화 기법이 요구된다. 제안된 논문은 가변적 전송 지연 시간을 흡수하면서 미디어 데이터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적 동기화이다. 즉, 최대 지연 지터 시간을 이용한 동기화 구간 조정과 지연시간의 변화에 따른 가변적 대기 시간을 융통성 있게 처리하여 미디어 데이터간의 동기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기법이다. 본 논문은 동기화 구간 조정을 처리하기 위해 지연 지터를 적용함으로써 트래픽 증가로 인한 미디어 데이터의 손실 시간 및 지연시간의 변화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감소시켰다. 그리고 스무딩 버퍼의 대기 시간을 가변으로 처리함으로써 지연시간의 변화로 인한 불연속을 감소시켰다. 제안된 논문은 고품질 서비스의 보장을 요구하는 시스템에 적합하며 재생율 증가와 손실율 감소 등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켰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