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화된 고객 경험은 이제 논쟁의 여지가 없는 고객 관계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동차의 핸들만큼 중요합니다. 고객은 개인화를 기대하며, 사이트나 앱, 심지어 디지털 키오스크에서도 원하는 것을 찾지 못하면 금방 떠나고 맙니다. 효과적인 개인화가 가능한 수준으로 고객을 이해하려면, 테스트 및 알고리즘 기반으로 오디언스 세그먼트나 개인에 대한 최고의 경험을 판단하는 경험 최적화가 필수입니다. 이런 과제를 해결해주는 AI의 역할과 AI를 활용한 개인화 전략에 대해 알아봅니다. 

주요 내용
- 개인화에서 AI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 AI가 테스트와 타기팅에 주는 이점
- AI +타기팅: 채택, 확장, 내재
- 조직 변화 주도

 

[출처 : http://www.itworld.co.kr/]

 

AI 기반 개인화를 위한 마케터 가이드 – 실시간 개인화의 실행.pdf
0.75MB

 토폴로지 개요

 

Topology(위상수학() : 그리스어에서 위치를 뜻하는 토포스(topos)학문을 뜻하는 로고스(logos)로 만들어진 단어

 

요한 베네딕트 리스팅(Johann Benedict Listing, 1808~1882) 정의 : “공간 속의 점·선·면 및 위치 등에 관하여, 양이나 크기와는 별개의 형상이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을 연구하는 학문”

 

사전적 의미 : 체계적인 분류, 위상 배치

일반적인 의미 : 물리적인 배치의 형태로 이루어진 어떤 현장의 종류를 설명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의미 : 노드들과 이에 연결된 회선들을 포함한 네트웍의 배열이나 구성을 개념적으로 표현한 것

 

그럼 통신 네트워크 측면에서 토플로지에 대해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네트워크란, 상호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유선, 무선을 통하여 연결된 형태를 말합니다. 

그럼 네트워크 토플로지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요소(링크, 노드)들의 배치형태, 망구성 방식을 의미합니다. 

 

네트워크 토플로지는 물리적 토플로지와 논리적 토폴로지로 구분합니다. 

물리적 토플로지는 노드, 링크와 같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배치에 의해 결정됩니다. 

 

논리적 토폴로지는 노드들 사이의 데이터 흐름에 따라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위 그림과 같이 네트워크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붉은색 화살표와 같이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흐른다면

물리적 토폴로지는 성형(star)이고,

논리적 토폴로지는 링형(Ring)이 됩니다. 

 

 토폴로지 종류

 

그럼 토폴로지 종류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네트워크 구성방식(Topology)에 따라 Star, Bus, Ring, Mesh, 성형, 망형, 버스형, 환형, 나무형 등이 있다.

 

Bus Topology(버스) 형(= Line (선형))

- 하나의 통신회선에 여러 컴퓨터를 연결해서 전송하는 방법으로,
- 신호와 관련이 있는 장치들만이 그들에게 주목하고, 그 외의 장치들은 그 신호를 무시
즉, 본래의 신호에 코드화되어 있는 주소와 일치하는 주소를 가진 컴퓨터만이 반응함
- 간선과 각 단말 장치와의 접속은 간단한 접속장치를 붙이는 것으로 가능
- 서로 가까운 거리의 장치들을 연결할 때 적절

 

장점

- 한개의 통신 회선에 장치가 여러대 연결되어 있는 간단한 구조
- 장치(컴퓨터)의 추가와 제거가 매우 용이
- 장치(컴퓨터)가 고장나더라도 전체 통신망에 영향을 주지 않아 신뢰성이 높음
- 가장 적은양의 케이블 사용
- 비용이 적게 듦

 

단점

- 장애가 발생 시에 발생지의 위치 추적이 어렵고

- 버스의 연결 부위나 종단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면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됨

즉, 단선 등 단순한 장애가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준다.

- 한번에 한 컴퓨터만 전송할 수 있으며, 연결된 컴퓨터의 수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이 좌우됨

- 거리 제약이 심함

 

 Ring Topology(링) 형

- 컴퓨터를 하나의 원을 이루도록 연결하며, 각 장치는 고유한 주소를 가지게 되며
- 케이블로 고리(loop)를 형성하고, 이 고리에는 네트워크 장비들을 설치
- 정보흐름(신호)은 단방향(시계방향)으로 원을 따라 흐르게 되고

- 개별 컴퓨터들이 리피터처럼 신호를 강화하여 다음 컴퓨터로 전송함

- 인접한 노드와 연결되어 원형을 이루는 형태임

- 각 노드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엑세스 제어논리(토큰)을 보유
- Token Passing(토큰 패싱)이라는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

- 장애 발견시 데이터가 왔던 경로로 되돌아감

 

 

장점

- 모든 장비에 똑같은 접속기회를 제공

- 단방향 통신으로 신호 증폭이 가능하여 거리 제약이 적음

- 네트워크 전송상의 충돌이 없고
- 노드의 숫자가 증가해도 전체적인 성능의 저하가 적음

 

단점

- 버스 방식보다 많은 양의 케이블을 사용하므로 설치비용이 비쌈

하나의 컴퓨터에 이상이 발생하면 전체 네트워크에 문제가 생긴다.

- 노드의 추가 삭제가 용이하지 않음

- 노드의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에 전체 네트워크가 중단될 수 있음
즉, 장애가 복구 될 때까지 데이터가 loop를 벗어나지 못함

 

 Star Topology(성형)

- 중앙집중식 구조를 가짐
즉, 중앙에 위치한 주 노드(허브라는 중앙장치)에 연결된 케이블로 다른 노드(컴퓨터)들을 연결

- 송신 컴퓨터가 전송한 신호는 허브를 통해 네트워크의 모든 컴퓨터로 보내짐
- Point to point 방식으로 회선을 연결하며, 모든 장치들은 중앙 컴퓨터를 통해서만 데이터를 교환
- 장치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음
단, 중앙 컴퓨터가 고장이 나면 전체 통신망이 멈추게 됨

 

 

장점
- 중앙에 허브를 두고 컴퓨터가 별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어 설치와 재구성이 쉬움
- 장애 발견이 쉬움
- Network 관리가 쉬움
- 하나의 장애가 다른 네트워크 장비에 영향을 주지 않음

 

단점
- HUB가 고장났을때 전체 Network에 충돌이 일어남
- 많은 양의 케이블을 사용하므로 설치비용이 비쌈

 

 

 Mesh Topology(망, 그물형)

- 네트워크상의 모든 노드를 상호 연결

- 모든 지점의 장치를 서로 연결한 형태로 연결성이 높으며

- 많은 장치와의 통신양이 많을때 유리하며

- 회선에 문제가 생겼을 때 다른 경로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
즉,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는 두 개 이상의 선로를 보유하면서 같은 네트워크에 속해있는 다른 네트워크 장비에 연결
- 통신선로의 총길이가 가장 긴 네트워크 구조
- 초기 데이타 통신 네트워크의 전형적인 형태
- 공중통신망에 많이 사용
- 컴퓨터들이 각각 1대 1로 연결되어 그물 모양을 이루며 안정적임

 

 

 

장점
- 장애에 가장 강하고 가장 안전함

- 목적지까지 여러 개의 경로가 존재하기 때문에 한곳에 장애가 생겨도 다른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

- 목적지까지 여러 개의 경로중 가장 빠른 경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가용성과 효율성이 뛰어남

 

단점 :
- 여러 토폴리지 가운데 설치 비용이 가장 비쌈

- 네트워크 관리가 힘들다.

즉, 규모가 큰 네트워크라면 항상 관리해야 할 엄청난 양의 네트워크 회선과 장비의 상태 

 

 

 트리형 (Tree Topology)  계층형, 분산형
- 중앙 컴퓨터와 일정 지역의 단말장치까지는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연결
- 이웃하는 단말장치는 일정 지역 내에 설치된 중간 단말장치로부터 다시 연결

- 접속되는 단말기의 숫자에 맞는 통신장비 이용이 가능
- multipoint 데이터 통신망

- 분산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방식

- 하나의 노드에 여러개의 노드가 트리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

- 데이터는 양방향으로 모든 노드에 전송

- 실제 사용하는 허브의 사용 방식

 

 

 

장점

- 통신 회선수 절약과 통신선로가 짧음

- 네트워크 확장 용이

 

단점

- 상위 노드 문제시 하위 노드 모두에 영향 미침

- 중앙 지점에서 병목현상 발생 가능

- 중앙 지점 고장 발생 시 네트워크 마비

 

 전체 비교

 

장점

단점

버스

저렴하고 사용하기 편함
매체가 간단하고 믿을만함

트래픽이 많을 경우, 네트워크 속도가 떨어짐
이상발생시 원인 파악이 어려움
케이블 단선시 해당 라인에 영향이 미침

모든 컴퓨터에 대한 동등한 액세스
사용자가 많은 경우에도 성능이 우수함

컴퓨터 하나의 문제에 네트워크 전체가 다운 가능성 있음
문제의 원인을 찾기가 어려움
네트워크 재구성시 운영이 중단됨

스타

컴퓨터 교체나 추가가 용이함
감시와 관리의 집중화
컴퓨터 하나에 문제가 생겨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이 미치지 않음

중앙 장치가 다운될 경우 네트워크 전체에 문제가 발생함

 

'정보관리기술사 도전 > 용어 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P2P((peer to peer))  (0) 2019.11.08
URI, URL 그리고 URN 이란?  (0) 2019.02.25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 작업 중  (0) 2019.02.22
VM vs container  (0) 2019.02.22
컨테이너(Container)?-정리 필요  (0) 2019.02.20

최근 출제경향을 분석하는 것 또한 시험에 대비하는 좋은

 

따라서 다음과 같이 최근 5년간 회차별로 정리하였습니다. 

 

 정보관리기술사 출제경향

 

영역/회차

107

108

110

111

113

114

116

117

118

119

SW공학

3

6

3

5

3

4

2

6

5

9

46

DB

2

3

1

3

1

4

2

4

2

4

26

IT경영

1

1

5

2

2

5

2

0

5

5

28

CA/OS

2

3

3

1

2

1

3

4

0

1

20

NW/보안

8

5

10

6

11

6

10

5

9

 

72

디지털서비스

13

10

9

9

9

6

10

8

9

9

92

통계/알고리즘

2

3

0

5

3

5

2

4

1

1

26

31

31

31

31

31

31

31

31

31

31

310

* 분석 내용 : 
IT  환경 변화에 따라 요구하는 것이 '융합'에 포커스를 두고 있는 "디지털서비스"듯하며, 

IT 융합의 기반이 되는 "SW 공학"이 요구되어지고 있는 듯 합니다.

 

 정보관리기술사 출제경향

 

영역/회차

107

108

110

111

113

114

116

117

118

119

SW공학

3 6 3 5 3 4 2 6 5 4 41

DB

2 3 1 3 1 4 2 4 2 2 24

IT경영

1 1 5 2 2 5 2 0 5 0 23

CA/OS

2 3 3 1 2 1 3 4 0 4 23

NW/보안

8 5 10 6 11 6 10 5 9 11 81

디지털서비스

13 10 9 9 9 6 10 8 9 6 89

통계/알고리즘

2 3 0 5 3 5 2 4 1 4 29

31

31

31

31

31

31

31

31

31

31

310

* 분석 내용 : 
IT  환경 변화에 따라 네트워킹 기술의 발전과 보안 기술의 요구가 함께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정보보안" 관계는 묶어서 생각해야 할 것이며, 

IT 융합의 기반이 되는 "SW 공학"이 요구되어지고 있는 듯 합니다.

우리는 컴퓨터 네트워크 라는 개념을 접하면서 보게되는 개념이 있습니다. 

서버 기반 그리고 P2P..그리고 클라우드..

이와 같은 개념에 대해서는 들어보셨을 것이고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 장에서는 서버기반과 P2P에 대한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합니다.)

 

 

Server Based Network는 서버 기반의 네트워크로서,

서버를 중심으로 개인용 PC 들이 서버에게서 정보 및 데이터를 받기 위해 종속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반면에

Peer To Peer Network는 단대단 기반의 네트워크로서

개인용 PC 들이 서로가 서로에게 정보 및 데이터를 받는 형태입니다. 

즉, 개인용 PC가 서버 역할을 하는 형태라고 보시면 될 것입니다. 

 

그럼 지금부터는 Peer To Peer(이하 P2P)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IT 기술적으로 peer to peer 는 Windows XP 에서의 워크그룹 설정(소프트웨어적으로 그룹화)과 같이 어떤 중앙집중적인 관리가 아니라 각 개개의 컴퓨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말합니다.

 

여기서 peer 는 개별 컴퓨터를 가리킵니다.

 

peer 라는 개념에 대해서 가볍게 알고 가겠습니다.

 

Peer의 영어 단어 원 뜻은

- 동료, 대등한 사람을 뜻합니다.

 

IT 측면에서의 접근 해석 해 보면, 어느 누구도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는 대등한 관계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그 사람이 무슨 일을 하든지 회사에서 상위 직급에 있든 하위 직급에 있든 동등하다는 것입니다.
*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는 익명성이라는(이름을 밝혀도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밝히지 않는다면 익명이라고 보는 관점) 부분이 존중되는 세상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Peer To Peer를 살펴보면

개인 컴퓨터에서 개인 컴퓨터로.

.와 같이 해석되어집니다. 

즉, 개인들이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정보나 데이터를 받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예를 들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에서 음악을 듣고 싶을 때 어떻게 하나요.
음원 파일을 살 수 있는 앱을 이용하거나 멜론, 벅스 같은 사이트에 들어가 한 달에 얼마, 또는 한 곡에 얼마씩 돈을 지불하고 음원을 내려받는 것은 서버기반입니다.

 

그런데 내가 가지고 있는 음악 파일을 친구에게 보내주는 경우도 있겠죠. 이런 식으로 정보(음악 파일)를 개인과 개인이 정보를 주고받는 게 P2P 기반입니다.

 

여러 장단점들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장점 : 

-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즉, 더 많은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구축 비용이 없습니다.
   : 즉, 사람들이 알아서 서버를 자청하며 생태계를 구축하기 때문에 돈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 보안 기능이 우수합니다.
   : 즉, 모든 컴퓨터가 서버-클라이언트 역할을 하게되고, 상대방의 컴퓨터를 감시함으로써 올바른 도출을 유도합니다. 
- 장애 복구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즉, 장애가 발생하여도 서비스에 지장이 크지 않거나 고가용성 혹은 내고장성의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합니다. 

 

단점 : 

- 저작권 보호가 어렵습니다.
   : 즉, 정당한 비용 지불 없이 데이터를 거래하는 경우 컨텐츠를 만든 사람은 시간과 비용에 대한 공이 사라지게 됩니다.
- 노드들의 연결 속도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 즉, 회선이 느린 노드가 존재할 경우 전체 네트워크의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게 됩니다.
- 데이터 사용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 즉,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PC가 존재하지 않거나, 개방하지 않는다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정보처리기술사 시험 관련

- 개요 : 정보처리기술사로써의 역량을 갖춘 자를 뽑는 시험

- 시험 : 시험에는 필기(서술형) 시험 합격 이후 실기(면접)이 이루어지는 형식으로 이루어짐
   . 필기 : Presentation능력, 논리적인 사고, 기술사로써의 Perspective. IT 기술의 이해, Insight 등

   . 면접 : 말하기 능력, 순발력, 해당 직무에 대한 전문성 및 insight, 기술사로써의 자세 등

 

 

 응시요건

정보관리기술사(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는 '정보통신' 직무분야의 '정보기술' 중직무분야 최고 등급인 기술사 등급 국가기술자격으로 2016년 현재 정부 관련 부처는 미래창조과학부이고, 자격검정 시행기관은 한국산업인력공단입니다.

 

구분

개요

시험과목

시험방법 및
합격기준(필기)

시험방법 및
합격기준(면접)

   

정보관리
기술사

정보의 구조, 수집, 정리, 축적, 검색 등 정보시스템의 설계 및 수치계산, 기타 정보의 분석, 관리 및 기본적인 응용에 관한 사항

IT 경영
소프트웨어공학데이터베이스
디지털 컨버전스
네트워크
정보보안
컴퓨터구조
프로젝트 관리
IT 인프라
수치해석
알고리즘 등

용어형/논술형
모두 서술형
(각 교시당 100분 총 400분)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구술형 면접시험 (30분 정도)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컴퓨터
시스템
응용
기술사

하드웨어시스템, 소프트웨어시스템에 관한 분석, 설계 및 구현, 그밖에 컴퓨터 응용에 관한 내용

   
   
   

* 시험과목은 위에 나열된 분류 이외에도 IT 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주제가 될 수 있습니다. 

 

 궁금하고 ..질문 사항

 

- 필기 시험 중에서

1. 문제 푸는 순서가 관계 있나요?

- 출제된 순서와 푸는 순서간에는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만.. 


2. 몇 페이지나 풀어야 하나여?

- 일반적으로 답안 분량과 합격과의 상관관계는 없습니다. 

하지만, 다른 수험자와 비교했을 때 평균 정도의 분량은 확보하는 것이 좋을 듯.(10페이지 이상, 12 ~ 14페이지)


3. 글씨를 잘 써야 하나요?

- 400분 안에 12페이씩 답을 쓰면서 깨끗하게 글씨를 쓸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으며, 많이 쓰기 연습을 하면 자연스럽게 나아지게 됩니다. 


4. 모르는 문제를 어떻게 풀 수 있나요?

- 내가 모르는 문제라면 남들도 모른다. 그렇다면 남들보다 상대적으로 우위를 갖는 답안을 쓰기 위해 노력해야...

 

- 면접 시험 중에서

1. 면접채점 위원이 바라는 것인 무엇인가?

- 면접 시험에 응시한 사람들은 1차 필기에서 지식적으로 검증되었기 때문에 면접에 응시한 사람들에게 요구하는 것은 지식 보다는 자세와 인성에 집중된 시험으로 이해하면 될 것임.

따라서, 면접 위원을 대하는 태도와 면접에 임하는 자세가 가장 중요함
- 면접 위원은 통상 교수님 또는 선배 기술사로 3인이 기준으로 배치되어 있음

 

2. 면접 위원들이 집중적으로 파악하는 사항은?

- 실무 경험이 풍부한가.

- PM으로서의 자질이 있는가

- 본인의 소신 있는 의사표현을 하는가

- 정답이 없는 문제에 대한 자신만의 논리적 의사결정이 가능한가

- 기술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가지고 있는가

- 면접에 최선을 다하는 자세가 보이는가

- 단순한 기술보다는 기술과 실무의 접목을 통한 응용력이 있는가

- 해당 종목의 기술사로서 국가, 기업에 공헌할 가능성이 있는가

 

 

 

 기술사 시험을 위해 채워야 할 중요한 3가지

- 연습 : 답안지 작성 연습, 생각하는연습, Grouping 하는 연습, 기술사 입장에서 생각하는 연습

- 체력 : 각각 100분씩 총 400분 동안 매 교시 최소한 14장의 답안지를 주관식으로 채워야 함

- 오기 : 총 400분의 시간동안 중간에 모르는 문제에서 무너져도 끝까지 이 악물고 최선을 다한다.

이번 시간에는 글쓰기의 중요성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읽기와 이해를 통해 정립해야 하는 중요성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그러나, 읽고 이해하는 것보다 더욱 더 중요한 것은 글쓰기가 될 것입니다.

 

제가 가장 난감해지고, 기술사 시험에 대해서 어려움을 가졌던 것이 글쓰기가 될 것입니다. 

 

논문을 썼던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글짓기라면 어느정도 자신이 있었던 저였기에....

초반 기술사 시험을 만만하게 여겼던 모습에서..

키보드가 아닌 볼펜을 들고서 글을 쓰려고 하니..

망막함이 밀려옴과 동시에

무엇보다 그리고 어떻게 작성을 해 나가야 할지 난감함에 봉착하게 되더라구요..

 

IT에 매진하고 계신 대부분의 분들은 저와 비슷한 경험들을 하고 계실 것이라 생각됩니다. 

어떤 주제에 대해서
- 키보드로 작성하는 것은 아주 조금은 수월하게 되는 반면에

- 볼펜이 들려지면 '멍~~~~' 해지는 기분.. 그저 볼펜심이 책상위에 부동자세로 서 있는 모습에...

 

그래서 기술사님들께서 자꾸 자꾸 쓰는 연습을 해야 한다고 하시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3개월동안에 볼펜 6자루를 소비해야 하는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 듯 하네요..)

 

 

정해진 시간 내에 글을 쓰는데 있어서

기술사님들이 알아보고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글자 크기와 글씨체가 함께 준비되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1 ~ 1.5페이지의 내용을 10분 이내에 작성해야 한다는 것은....

무작정 쓴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가 되겠죠.

 

보기 좋은 떡이 맛도 좋다는 옛말이 있듯이..

 

답안 작성에 필요한 작성에 필요한 노하우가 함께 준비되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되네요.

따라서, 빠르게 그리고 이쁜 글씨체를 배울 수 있는 자료를 준비하였습니다. 

 

아래 내용은 유투브에서 발췌한 것으로 글쓰기에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글씨체를 예쁘게 쓰는 내용

 

 

 

글씨를 빠르게 쓰는 내용

 

 

 

논리정연하게 글을 작성하는 내용

 

 

이번 장에서는 각 교시별로 답안을 작성하는 사항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합니다. 

 

 1교시

1교시는 용어에 대한 정의를 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따라서, 해당 용어에 대해 '서론-본론-결론' 식으로 답안을 작성해 나가는 것에 익숙해져야 할 것입니다. 

 

서론

• 질문을 한 토픽에 대한 개념과 정의를 기술하는 부분
• 정의는 반드시 해당 기술에 대한 의미를 담고 있는 명사형으로 종결
• 정의 / 기존 기술의 문제점 / 등장 배경 / 필요성 / 추진 배경 /
• 활성화 배경 / 주목 받는 이유 / 주요 특징 등 

본론

• 답안의 핵심이 되는 단락, 토픽에 대한 깊이 있는 설명 기술하는 부분
• 기술적 접근으로 키워드 중심의 설명 
• 표(2단/3단) 위주로 기술, 필요 시 그림 형식 단락 제시
• 주요 특징 / 구성 요소 / 주요 기능 / 구성도 / 요소 기술 / 비교표 등 

결론

• 토픽 자체에 대한 모습 또는 토픽을 둘러싼 부분에 대해 기술하는 부분 
• 현재 상태(태동기, 성숙기, 쇠퇴기)에 따른 전후 연계한 설명
• 현황 / 문제점 / 해결 방안 / 활성화 방안 / 기대 효과 / 향후 전망 등

 

 2/3/4 교시
2~4교시는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문제를 풀이하는 방식에 집중해야 할 것입니다. 

따라서, 해당 답안을 작성 시 '기-승-전-결' 식으로 답안을 작성해 나가는 것에 익숙해져야 할 것입니다. 

 

• 토픽에 대한 상위의 개념 및 배경/필요성 등 토픽의 이해를 위한 주변 환경에 대한 이야기를 포함한 내용 기술
• 전체 답안의 맥락 및 논리적 기초를 마련하는 부분
최소 반 페이지 이상씩 기술하여 분량 확보 

• 2~3단락이 본론을 구성, 질문에 대한 답을 중점적으로 기술 
 물어본 내용 중심으로 최소 반 페이지 ~ 한 페이지 이상씩 기술하여 분량 확보 
• 각 단락간의 논리적 흐름이 끊어지지 않도록 구성에 집중

• 관점 별로 구분하여 더 깊게 내용을 기술할 수 있어야 상위권 가능
기술하려는 내용에 대해 최소 한 페이지 이상씩 기술하여 분량 확보 

• 토픽의 현황 및 향후 전망 등에 대해 본인의 관점에서 기술 
• 토픽에 대해 준비한 내용이 있으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공간
• 다양한 토픽들간의 연계성이 중요
 최소 반 페이지 이상씩 기술하여 분량 확보 

 

서론-본론-결론 구성 내용 

다음은 '서론-본론-결론'에 포함되어져야 할 목차 부분이 될 것입니다. 

해당 내용들이 포함되어 표현될 수 있도록 답안을 작성하시는 것에 익숙해져야 할 것입니다. 

 

 

 

 

 

 

 

 

 

 

 

 

 

 

 

 

 

 

 

 

 

 

 

 

 

 

 

 

 

 

 

 

 

 

 

 

이번 장에서는 각 교시에 해당되는 문제 풀이 방식에 대해서 정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제를 풀어나가는 것에도 일련의 규칙 및 요구 사항 들이 존재합니다.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은 기본이고, 

서술하는 규칙에 맞추어야 할 것입니다. 

 

출제자 의도 파악 및 서브 노트 작성 요령

 

이런것들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다음에서 보여지는 내용을 기반으로 준비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해당 내용은 기술사님들께서 정의하신 내용이기 때문에 충분한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됩니다. )

기출문제에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한듯 합니다. 

구분

내용

기출문제 분석을 통한 문제 성향 파악

• 기출 문제의 분석을 통해 출제 의도를 파악하는 능력을 기른다 
• 즉, 출제의도를 명확히 간파하고 출제자가 의도하고 있는 핵심의 틀을 논리적, 체계적인 단락으로 구성한다. 

모든 문제의 출제의도 파악

1교시 형 문제의 흐름이 2,3,4교시의 주요 주제를 암시하고 있다 

기출 문제에서 진화 발전

• 해당 Object가 다시 출제 될 경우에는 Scope과 Depth가 깊어지며, 이에 대한 철저한 이해 및 서브노트 작성이 필요하다

출제의도 파악 후 참고자료를 수집

• 기출문제 분석 후 해당 Object를 정리 하기 위한 참고자료 및 최신동향을 파악 
• 스터디 활동을 통한 정보 공유가 필요하다

 

 교시별 답안 작성 요령

 

다음으로는 교시별 답안을 작성하는 요령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1교시


1) 문제지를 받는 순간 내가 풀 수 있는 문제 10개 표시
2) 10문제에 주어진 시간이 100분이므로, 10분당 한 문제씩 작성 완료 해야 함. → 모의고사를 통한 지속적인 훈련 필요
   : 하지만, 14문제 중에서 10문제를 추려내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고, 풀이하려는 문제를 이해하고 정리 방법에 대해서 고민하는 것까지 고려한다면, 엄밀히 따지면 한 문제를 푸는 시간은 7~8분 정도가 될 것입니다. 
3) 가장 자신 있게(가장 길게 가 아님) 작성할 수 있는 문제를 맨 먼저 작성
4) 유사/차이 기술과 적절한 비교표 작성 : 비교 내용 자체가 3개 이상이 되도록 작성
-> 기출 문제를 통한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합니다. 
5) 1교시 문제에서 사례작성은 되도록 지양 -> 시간 부족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6) 키워드가 풍부하며 간략한 답안 작성
   : 1교시의 핵심은 1장 반 안에 해당 주제를 얼마나 간략하게 제대로 표현하느냐임.
7) 3단락의 개인적인 의견보다는 활용 분야, 기술 동향 등으로 정리하는 것이 좋음.
8) 내가 제일 잘 쓸 수 있는 문제를 맨 처음 깨끗한 글씨로 작성 => 첫인상의 중요성 -

2,3,4교시


1) 각 문제 별로 4단락, 또는 5단락 작성.
2) 4문제에 주어진 시간이 100분이므로, 25분당 한 문제씩 작성 완료 해야 함.
   : 6문제 중에서 4문제를 추려내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고, 풀이하려는 문제를 이해하고 정리 방법에 대해서 고민하는 것까지 고려한다면, 엄밀히 따지면 한 문제를 푸는 시간은 22~23분 정도가 될 것입니다. 
3) 2,3,4교시의 경우 문제 자체가 긴 경우가 많으며, 문제 의도 파악이 매우 중요함. 따라서 1~2분 정도는 문제의 의도를 파악하고 단락 구성 layout 작성하며, 23~24분 동안 답안지 작성
4) 주어진 4문제 중 3문제에 지나치게 시간을 할애하여 마지막 문제에 정의만 쓰는 일은 절대 없어야 함.
5) 그림은 누가 봐도 이해 가기 쉽게 그리며, 그림 아래 간단한 부연 설명.
-> 기출 문제를 통한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합니다. 
6) 답안 작성 시 가장 중요한 것은 “묻는 것에 대해 제대로 작성”해야 하며 해당 토픽의 키워드는 반드 시 들어가야 함
7) 2,3,4교시 답안의 마지막 단락은 예비기술사로서 나의 의견을 함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부분으로 마지막 단락에 대한 특화 필요

 

* 고수는 마지막 단락에 강하며, 하수는 마지막 단락을 허술하게 쓴다!

 

 

 답안 작성 사례

 

다음으로는 답안 작성 사례에 대해서 간략히 보여드리겠습니다. 

해당 샘플은 기술사님들께서 정리하신 예제 내용이 될 것이며, 

해당 샘플을 참고하신다면 도움이 되실 것이라 여겨집니다. 

 

 

 모르는 토픽도 쓸 수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는 기술사 시험 중 모르는 문제에 대해서도 작성할 수 있는 뻔뻔함(?)을 가지고 문제에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자신이 공부했던 내용을 토대로 시나리오를 만들어가는 능력도 예비 기술사님들이 갖추어야 할 능력이라고 생각됩니다. 즉, 모든 주제의 내용을 알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최대한 질문 의도를 이해하고 답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해야겠지요.

다음 내용은 기술사님들께서 답안 작성 요령에 대해서 언지해 주신 내용입니다. 

 

1. 준거성 테스트(Compliance Test)와 실증성 테스트(Substantive Test)를 설명하시오.

-> 준거성은 웬지 법을 지키는 것으로 생각되고 실증성은 증거?를 만드는 것? 이런 식으로 씀


2. 세마포어(Semaphore)의 P연산과 V연산을 설명하시오.
-> 모름. Pass

3. 인터넷 프로토콜인 CoIP에 대해 설명하시오.
-> VoIP와 비슷할 거라 생각함. 프로토콜이라고 쓴 것이 맘에 걸리지만 그냥 VoIP에 V->C로 씀.

4.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인 DQM3에 대해 설명하시오.
-> DQMM은 아는데 DQM3는 모르겠음. 똑같이 DQMM으로 씀

5. USB(Universal Serial Bus) 3.0에 대해 설명하시오.
-> 처음 들어봄. USB보다 좋아졌겠지 하고 씀. 초고속, 편이성 향상, 호환성 증가 등으로 거짓말 쓰고 비교표 그림.

6.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플랫폼(u-Platform)에 대해 설명하시오.
-> u-Platform이라는 것이 따로 있는 줄은 모름. 그냥 유비쿼터스 기술들을 쭉 나열.

7. 분산객체 컴포넌트 표준을 CORBA, EJB, COM을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 CORBA 외에는 모름. 그냥 비교표로 쭉 거짓말 씀.

8.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비용(Cost)이나 노력(Effort)을 신뢰성 있게 예측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설명하시오.
-> 내가 아는 모든 예측 기법을 분류해서 기술함. 경험적/PERT/CPM/LOC/FP/기성고 등등.

9. 데이터 추상화를 정의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이 추상화를 어떻게 실현하는지를 설명하시오.
-> 자료/제어/데이터 추상화로 씀

10.소프트웨어의 시험(Test) 전략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프로세스(Life Cycle)와 연관 지어 설명하시오.
-> Life Cycle의 초기에는 계획 수립, 후기에는 Test 수행 활동 중심으로 전략 수립하라고 씀.

11.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가 제시하는 일반적인 프로젝트 관리활동 9개 영역을 간략히 기술하시오.
-> 생각 나는 대로 씀. 2개는 틀리게 썼음.

12.지식기반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시, "IF A THEN B" 형태의 조건부와 결론부 형태로 쓰여진 지식을 Production Rule 또는 Rule이라 한다. 전방향추론(Frontward reasoning)과 후방향 추론(Backward reasoning)을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 Pass

13. 1차원 Bar-Code의 심볼(Symbol)과 심볼로지(Symbology)를 설명하시오.
-> Pass

기술사 시험을 준비하면서 기본적으로 알아둬야 할 사항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 답안지 양식에 익숙해여져야 할 것이고

- 사용하는 볼펜의 특징에 익숙해져야 할 것이고

- 답안 작성 방법에 익숙해져야 할 것이고

- 시험을 위해서 준비해야 하는 물품들에 익숙해져야 할 것이고

- 기타 자신만의 컨트롤 마인드에 익숙해져야 할 것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