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장에서는 각 교시에 해당되는 문제 풀이 방식에 대해서 정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제를 풀어나가는 것에도 일련의 규칙 및 요구 사항 들이 존재합니다.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은 기본이고, 

서술하는 규칙에 맞추어야 할 것입니다. 

 

출제자 의도 파악 및 서브 노트 작성 요령

 

이런것들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다음에서 보여지는 내용을 기반으로 준비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해당 내용은 기술사님들께서 정의하신 내용이기 때문에 충분한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됩니다. )

기출문제에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한듯 합니다. 

구분

내용

기출문제 분석을 통한 문제 성향 파악

• 기출 문제의 분석을 통해 출제 의도를 파악하는 능력을 기른다 
• 즉, 출제의도를 명확히 간파하고 출제자가 의도하고 있는 핵심의 틀을 논리적, 체계적인 단락으로 구성한다. 

모든 문제의 출제의도 파악

1교시 형 문제의 흐름이 2,3,4교시의 주요 주제를 암시하고 있다 

기출 문제에서 진화 발전

• 해당 Object가 다시 출제 될 경우에는 Scope과 Depth가 깊어지며, 이에 대한 철저한 이해 및 서브노트 작성이 필요하다

출제의도 파악 후 참고자료를 수집

• 기출문제 분석 후 해당 Object를 정리 하기 위한 참고자료 및 최신동향을 파악 
• 스터디 활동을 통한 정보 공유가 필요하다

 

 교시별 답안 작성 요령

 

다음으로는 교시별 답안을 작성하는 요령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1교시


1) 문제지를 받는 순간 내가 풀 수 있는 문제 10개 표시
2) 10문제에 주어진 시간이 100분이므로, 10분당 한 문제씩 작성 완료 해야 함. → 모의고사를 통한 지속적인 훈련 필요
   : 하지만, 14문제 중에서 10문제를 추려내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고, 풀이하려는 문제를 이해하고 정리 방법에 대해서 고민하는 것까지 고려한다면, 엄밀히 따지면 한 문제를 푸는 시간은 7~8분 정도가 될 것입니다. 
3) 가장 자신 있게(가장 길게 가 아님) 작성할 수 있는 문제를 맨 먼저 작성
4) 유사/차이 기술과 적절한 비교표 작성 : 비교 내용 자체가 3개 이상이 되도록 작성
-> 기출 문제를 통한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합니다. 
5) 1교시 문제에서 사례작성은 되도록 지양 -> 시간 부족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6) 키워드가 풍부하며 간략한 답안 작성
   : 1교시의 핵심은 1장 반 안에 해당 주제를 얼마나 간략하게 제대로 표현하느냐임.
7) 3단락의 개인적인 의견보다는 활용 분야, 기술 동향 등으로 정리하는 것이 좋음.
8) 내가 제일 잘 쓸 수 있는 문제를 맨 처음 깨끗한 글씨로 작성 => 첫인상의 중요성 -

2,3,4교시


1) 각 문제 별로 4단락, 또는 5단락 작성.
2) 4문제에 주어진 시간이 100분이므로, 25분당 한 문제씩 작성 완료 해야 함.
   : 6문제 중에서 4문제를 추려내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고, 풀이하려는 문제를 이해하고 정리 방법에 대해서 고민하는 것까지 고려한다면, 엄밀히 따지면 한 문제를 푸는 시간은 22~23분 정도가 될 것입니다. 
3) 2,3,4교시의 경우 문제 자체가 긴 경우가 많으며, 문제 의도 파악이 매우 중요함. 따라서 1~2분 정도는 문제의 의도를 파악하고 단락 구성 layout 작성하며, 23~24분 동안 답안지 작성
4) 주어진 4문제 중 3문제에 지나치게 시간을 할애하여 마지막 문제에 정의만 쓰는 일은 절대 없어야 함.
5) 그림은 누가 봐도 이해 가기 쉽게 그리며, 그림 아래 간단한 부연 설명.
-> 기출 문제를 통한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합니다. 
6) 답안 작성 시 가장 중요한 것은 “묻는 것에 대해 제대로 작성”해야 하며 해당 토픽의 키워드는 반드 시 들어가야 함
7) 2,3,4교시 답안의 마지막 단락은 예비기술사로서 나의 의견을 함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부분으로 마지막 단락에 대한 특화 필요

 

* 고수는 마지막 단락에 강하며, 하수는 마지막 단락을 허술하게 쓴다!

 

 

 답안 작성 사례

 

다음으로는 답안 작성 사례에 대해서 간략히 보여드리겠습니다. 

해당 샘플은 기술사님들께서 정리하신 예제 내용이 될 것이며, 

해당 샘플을 참고하신다면 도움이 되실 것이라 여겨집니다. 

 

 

 모르는 토픽도 쓸 수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는 기술사 시험 중 모르는 문제에 대해서도 작성할 수 있는 뻔뻔함(?)을 가지고 문제에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자신이 공부했던 내용을 토대로 시나리오를 만들어가는 능력도 예비 기술사님들이 갖추어야 할 능력이라고 생각됩니다. 즉, 모든 주제의 내용을 알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최대한 질문 의도를 이해하고 답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해야겠지요.

다음 내용은 기술사님들께서 답안 작성 요령에 대해서 언지해 주신 내용입니다. 

 

1. 준거성 테스트(Compliance Test)와 실증성 테스트(Substantive Test)를 설명하시오.

-> 준거성은 웬지 법을 지키는 것으로 생각되고 실증성은 증거?를 만드는 것? 이런 식으로 씀


2. 세마포어(Semaphore)의 P연산과 V연산을 설명하시오.
-> 모름. Pass

3. 인터넷 프로토콜인 CoIP에 대해 설명하시오.
-> VoIP와 비슷할 거라 생각함. 프로토콜이라고 쓴 것이 맘에 걸리지만 그냥 VoIP에 V->C로 씀.

4.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인 DQM3에 대해 설명하시오.
-> DQMM은 아는데 DQM3는 모르겠음. 똑같이 DQMM으로 씀

5. USB(Universal Serial Bus) 3.0에 대해 설명하시오.
-> 처음 들어봄. USB보다 좋아졌겠지 하고 씀. 초고속, 편이성 향상, 호환성 증가 등으로 거짓말 쓰고 비교표 그림.

6.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플랫폼(u-Platform)에 대해 설명하시오.
-> u-Platform이라는 것이 따로 있는 줄은 모름. 그냥 유비쿼터스 기술들을 쭉 나열.

7. 분산객체 컴포넌트 표준을 CORBA, EJB, COM을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 CORBA 외에는 모름. 그냥 비교표로 쭉 거짓말 씀.

8.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비용(Cost)이나 노력(Effort)을 신뢰성 있게 예측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설명하시오.
-> 내가 아는 모든 예측 기법을 분류해서 기술함. 경험적/PERT/CPM/LOC/FP/기성고 등등.

9. 데이터 추상화를 정의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이 추상화를 어떻게 실현하는지를 설명하시오.
-> 자료/제어/데이터 추상화로 씀

10.소프트웨어의 시험(Test) 전략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프로세스(Life Cycle)와 연관 지어 설명하시오.
-> Life Cycle의 초기에는 계획 수립, 후기에는 Test 수행 활동 중심으로 전략 수립하라고 씀.

11.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가 제시하는 일반적인 프로젝트 관리활동 9개 영역을 간략히 기술하시오.
-> 생각 나는 대로 씀. 2개는 틀리게 썼음.

12.지식기반 응용소프트웨어 개발시, "IF A THEN B" 형태의 조건부와 결론부 형태로 쓰여진 지식을 Production Rule 또는 Rule이라 한다. 전방향추론(Frontward reasoning)과 후방향 추론(Backward reasoning)을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 Pass

13. 1차원 Bar-Code의 심볼(Symbol)과 심볼로지(Symbology)를 설명하시오.
-> Pass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