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장 (Ledger)
정의: 금융 기관이나 기업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 내역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문서 또는 데이터베이스
특징:
- 거래의 날짜, 금액, 거래 대상, 목적 등을 포함하여 상세하게 기록합니다.
- 과거에는 종이 장부 형태로 존재했으나, 현재는 디지털 형태로 관리됩니다.
- 회계의 기본 원칙에 따라 구성되며, 재무제표 작성의 기초 자료로 활용됩니다.
예시:
- 총계정원장(General Ledger): 모든 계정과 거래 내역을 포함하는 원장으로, 기업의 재무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2. 전문 (Message)
정의: 금융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전에 정의된 형식에 따라 구성된 데이터 패킷
특징:
- 고정된 길이와 구조를 가지며, 각 필드는 정해진 위치와 길이에 따라 데이터를 배치합니다.
- 주로 바이너리 형태로 구성되며, 시스템 간의 정확한 데이터 해석을 위해 엄격한 형식이 요구됩니다.
- TCP/IP 기반의 소켓 통신을 통해 전송되며, 세션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교환합니다.
예시:
금융 기관 간의 거래 정보 전송, 예를 들어 계좌 이체 요청이나 승인 응답 등의 데이터 교환에 사용됩니다
3. 채번 (Numbering)
정의: 금융 시스템에서 거래나 문서, 고객 등에 고유한 식별 번호를 부여하는 절차입니다.
특징:
- 중복을 방지하고, 각 거래나 문서를 명확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일괄적으로 번호를 생성하거나, 개별적으로 번호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 시스템의 무결성과 추적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시:
- 은행에서 고객에게 고유한 Payer ID를 부여하여 거래를 식별하고 관리합니다.